결국 위기 속에서도 부동산이 주식 대비 변동성은 상대적으로 작다는 결론이군요. 아무래도 거래가 쉽지 않을 것이니...다른 한편으로는 어려운 부분이기도 한데요. 가격과 거래량을 늘 같이 고민을 해야 과연 그 가격 수준이 대표성이 있는가라는 점이기도 하겠다는 생각도 듭니다. 적정 가격에 대한 이슈인데, 경제학에서는 이런 부분들에 대한 인사이트들이 있는지도 궁금합니다. 어떤 전문가는 특정 단지 총 물량 대비 매매 회전율을 보기도 하고, 각종 기간 별 평균 거래량을 보기도 하고... 등등 예를들면 최근처럼 정책 변수가 개입되어서 거래량이 현저히 줄어 있는 상황에서 찍히는 가격이 적정 시장가치를 반영하고 있는 것인가에 대한 의구심도 한켠으로는 들기도 합니다. ^^ 좋은 동영상 감사합니다.
박사님, 2008~2013년 침체기를 촉발한 제일 큰 원인은 무엇인가요? 그 시기 입주물량을 보더라도 수도권에 많은 물량이 있지 않았는데 무엇이 원인이었는지 궁금합니다. 부동산 전문가들이 입주물량이 크게 늘어나는 시점에 하락이 올 것이라고 말하고, 저도 그 생각에 동의했었는데요. 바로 직전의 하락기에는 하락의 원인이 입주물량이 아닌 거 같아, 도대체 하락을 촉발하는 원인이 무엇인지 궁금하여 이렇게 질문 올립니다.
최근에 돈의 역사를 읽고 뭔가 온몸의 긴장감이 도네요 디플레 전쟁도 열공입니다 좋은 책 감사합니다 . 개인이 시장에서 살아남는법은 자산배분과 위기가 와서 자산이 매력적인 가격에 왔을때 매수하는 전략으로 생각하고있습니다. 양적완화로 인한 유동성의 문제점으로 충격이 어떻게 올지 궁금합니다.
이런 종가선 차트는 최저점을 최고점을 잘 파악할수 없어요 특히나 짧은 기간이 아닌 장기간 10년짜리 차트에서는 더더욱 잘 몰라요 봉차트로 보면 최저점이 밑 꼬리가 잘보이지 그러니 그때 아파트를 팔아본 경험이 있는 사람들이 공감을 못할 거에여~ 과천 문원동 래미안 32평 새 아파트 노무현 말기에 12억 하던거 이명박 초기 기준금리 5%에 금융위기 와서 5억 5천~ 6억선까지 떨어 졌어요 강남 14억 아파트 7억까지 떨어졌었고 지역차이가 있었겠지만 그때 돈 빌려서 건물 짓다가 개피 본 사람이 우리 누나에요
박사님 이 영상과 관련이 없는 내용이지만 요즘에 재난소득때문인지 기본소득제가 화두가 되고있다고 생각합니다. 제 개인적으로 취지는 좋지만 공짜 점심은 없다라는 말도 있듯이 현실성이 떨어진다고 생각하는데요 박사님은 기본소득에 관해 어떤식으로 생각하시는지 영상이나 짧게 댓글로 남겨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부동산이라는 자산이 경제위기시 변동성이 작은 이유는 무엇일까요? 1) 부동산은 실제 거주하는 용도로 구입, 사용하는 자산이기 때문에 가격이 떨어졌다고 시장에 쉽게 공급되지 않기 때문에? 2) 부동산 구입, 이용시 대출을 받게 되는데 정부가 그 비율을 정책적으로 LTV, DTI 등을 활용해 조절하기 때문에, 일본사례처럼 시장에 급격하게 부동산이 매물로 나오지 않기 때문에?
앞으로 디플레이션 압력이 강게지게 되면, 저금리 기조를 유지할 수 밖에 없을 것 같다고 생각합니다. 그러면 주택담보대출시 적용되는 금리도 낮은 상황으로 유지될 가능성이 높다고 예상할 수 있습니다. 안그래도 변동성이 낮은 부동산이라는 자산 특성에, 디플레이션 압력상황을 해소하기 위한 저금리 기조가 더해질 것 같습니다. 그 결과 부동산 가격은 더 안정될 가능성이 높다고 해석할 수 있겠네요.
@카디-j8d 3
2020년 5월 08일 07:59결국 위기 속에서도 부동산이 주식 대비 변동성은 상대적으로 작다는 결론이군요. 아무래도 거래가 쉽지 않을 것이니...다른 한편으로는 어려운 부분이기도 한데요. 가격과 거래량을 늘 같이 고민을 해야 과연 그 가격 수준이 대표성이 있는가라는 점이기도 하겠다는 생각도 듭니다. 적정 가격에 대한 이슈인데, 경제학에서는 이런 부분들에 대한 인사이트들이 있는지도 궁금합니다. 어떤 전문가는 특정 단지 총 물량 대비 매매 회전율을 보기도 하고, 각종 기간 별 평균 거래량을 보기도 하고... 등등 예를들면 최근처럼 정책 변수가 개입되어서 거래량이 현저히 줄어 있는 상황에서 찍히는 가격이 적정 시장가치를 반영하고 있는 것인가에 대한 의구심도 한켠으로는 들기도 합니다. ^^ 좋은 동영상 감사합니다.
@박현정-v8n6k 2
2020년 5월 11일 10:09홍씨는 진정성없음.
별로.
기회주이자같다
@나민들레영토 2
2020년 5월 08일 13:21선생님 디플레가 아니라 인플레 옵니다. 다시 한 번 검토해주세요. 선생님 책 어제 모두 정독했어요. 잘 짜집기 편집된 듯 하지만 예측은 정말 잘 못 한듯합니다.
@junbeombaek5193 1
2021년 9월 07일 18:36박사님, 2008~2013년 침체기를 촉발한 제일 큰 원인은 무엇인가요?
그 시기 입주물량을 보더라도 수도권에 많은 물량이 있지 않았는데 무엇이 원인이었는지 궁금합니다.
부동산 전문가들이 입주물량이 크게 늘어나는 시점에 하락이 올 것이라고 말하고, 저도 그 생각에 동의했었는데요.
바로 직전의 하락기에는 하락의 원인이 입주물량이 아닌 거 같아, 도대체 하락을 촉발하는 원인이 무엇인지 궁금하여 이렇게 질문 올립니다.
@희망-c8f 1
2020년 5월 10일 18:07최근에 돈의 역사를 읽고 뭔가 온몸의 긴장감이 도네요 디플레 전쟁도 열공입니다 좋은 책 감사합니다 . 개인이 시장에서 살아남는법은 자산배분과 위기가 와서 자산이 매력적인 가격에 왔을때 매수하는 전략으로 생각하고있습니다. 양적완화로 인한 유동성의 문제점으로 충격이 어떻게 올지 궁금합니다.
@zeree414 1
2021년 4월 16일 08:46이런 종가선 차트는 최저점을 최고점을 잘 파악할수 없어요 특히나 짧은 기간이 아닌 장기간 10년짜리 차트에서는 더더욱 잘 몰라요 봉차트로 보면 최저점이 밑 꼬리가 잘보이지 그러니 그때 아파트를 팔아본 경험이 있는 사람들이 공감을 못할 거에여~ 과천 문원동 래미안 32평 새 아파트 노무현 말기에 12억 하던거 이명박 초기 기준금리 5%에 금융위기 와서 5억 5천~ 6억선까지 떨어 졌어요 강남 14억 아파트 7억까지 떨어졌었고 지역차이가 있었겠지만 그때 돈 빌려서 건물 짓다가 개피 본 사람이 우리 누나에요
@불가사리-o1z
2020년 5월 09일 22:24박사님 이 영상과 관련이 없는 내용이지만 요즘에 재난소득때문인지 기본소득제가 화두가 되고있다고 생각합니다. 제 개인적으로 취지는 좋지만 공짜 점심은 없다라는 말도 있듯이 현실성이 떨어진다고 생각하는데요 박사님은 기본소득에 관해 어떤식으로 생각하시는지 영상이나 짧게 댓글로 남겨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whisperingjayasmr8527
2021년 12월 06일 19:12좋은 정보 감사합니다~잘배웠습니다 :)
@ValueCreator_89
2020년 5월 10일 09:15감사합니다!
부동산이라는 자산이 경제위기시 변동성이 작은 이유는 무엇일까요?
1) 부동산은 실제 거주하는 용도로 구입, 사용하는 자산이기 때문에 가격이 떨어졌다고 시장에 쉽게 공급되지 않기 때문에?
2) 부동산 구입, 이용시 대출을 받게 되는데 정부가 그 비율을 정책적으로 LTV, DTI 등을 활용해 조절하기 때문에, 일본사례처럼 시장에 급격하게 부동산이 매물로 나오지 않기 때문에?
앞으로 디플레이션 압력이 강게지게 되면, 저금리 기조를 유지할 수 밖에 없을 것 같다고 생각합니다.
그러면 주택담보대출시 적용되는 금리도 낮은 상황으로 유지될 가능성이 높다고 예상할 수 있습니다.
안그래도 변동성이 낮은 부동산이라는 자산 특성에, 디플레이션 압력상황을 해소하기 위한 저금리 기조가 더해질 것 같습니다.
그 결과 부동산 가격은 더 안정될 가능성이 높다고 해석할 수 있겠네요.
@ilkwonchae2431
2020년 5월 08일 14:11동감합니다. 홍박사님.. 오늘 영상 잘 보고 갑니다. ^^
@ocean8762
2020년 5월 08일 23:11감사합니다!
@UBSSTAR
2021년 6월 29일 00:15지금 여기서 말도 안되게 더올랏습니다... 과연 지금 31살 결혼을 준비할수잇을까요
Jake Kim
2020년 5월 09일 02:44지위재가 베블런재와 같은 개념인가요?